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Archive for the ‘역사의 교훈’ Category

다음과 카카오, 그리고 네이버컴과 한게임

leave a comment »

2000년 4월 26일, 네이버컴은 한게임을 인수했다. 네이버컴은 새롬기술로부터 250억 원을 투자받아 현금이 풍부했으나 새로운 수익모델이 절실한 상황이었고, 한게임은 수익화에 성공했지만 폭증하는 트래픽을 대응할 인프라 투자여력이 부족한 상태였다. 후발주자였던 네이버는 이후 한게임 유료화와 검색광고의 대성공으로 다음을 뛰어넘어 독보적인 1위로 올라섰는데. 잘 알려진 것처럼 한게임은 카카오를 설립한 김범수 의장이 만든 회사였고, 당시 한게임은 네이버컴의 1/4 수준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았다. 김 의장은 피인수 이후 한동안 공동대표를 맡다가 ‘주인공’ 역할을 이해진 의장에게 넘긴 바 있다.

2014년 5월 26일 오늘, 다음은 카카오와 합병을 발표했다. 다음은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고있으나 네이버에 밀리고 있고, 카카오는 수익화에 성공했지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여력이 (라인/위챗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상태라고 볼 수 있겠다. 정확하게 14년 1개월의 시차를 두고 닮은 꼴의 인수합병이 일어난건데. 다른 점은 김범수 의장의 카카오가 다음의 3.5배 수준의 기업가치를 인정 받았다는 사실이다. 말이 합병이지 사실상 카카오가 다음을 인수한 모양새다. 김 의장은 통합법인 주식의 40%를 소유하는 최대주주가 된다.

물론 당시 벤처기업이었던 네이버컴과 한게임, 그리고 대기업에 가까운 다음과 카카오의 인수합병효과는 다를 수 있다. 조직이 큰 만큼 합병 후 통합하는 과정에서의 시간이 더 걸릴테니 본격적인 시너지를 내는 것 또한 늦어질 수 있다. 하지만 페이스북 와츠앱과 네이버 라인과의 경쟁에서 쉽게 밀리지 않을 체력을 확보했다는 점은 즉시 유효하다. 한국경제 임원기 기자가 어제를 버려라에 묘사했던 승부사 기질이 다시 한 번 나온셈이랄까?

앞으로의 다음카카오, 아니, 이번엔 주인공 역할을 할 김범수 의장의 ‘다음’이 기대된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4/05/26 at 10:02

넥슨 김정주 회장 키노트 @ SoftBank Ventures Forum 2013

with 4 comments

오늘 W워커힐에서 진행하는 소프트뱅크 벤처스 포럼에 오픈서베이 이야기를 하러갔다가, 평소에 뵙기 힘든 넥슨 김정주 회장이 키노트하는걸 볼 기회가 있었다. 인상적인 이야기들을 간단히 메모하면.

넥슨 김정주 회장 @ SoftBank Ventures Forum 2013

넥슨 김정주 회장 @ SoftBank Ventures Forum 2013

  • 넥슨은 때를 잘 만났다.  (Internet + Game + Right Time)
  • 지금도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을 돌아다니며 소규모 팀으로 일하는걸 즐긴다.
  • 새로운 아이디어에 투자하기도 하는데 Collective Intelligence 에 관심이 많다.
  • 사람들이 Lyft, Lit Motors 와 같은  ‘미친’ 서비스들을 더 많이 개발했으면 한다. 
  • 게임중독보다 더 큰 문제는, 훌륭한 인재들이 게임만 개발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 길게보고 해라. 10년, 20년이 지나면 옆에서 따라오던 경쟁자들이 다 자빠지기 마련이다. 그 때 남아있으면 1등 되는거다.

약간 빗겨간 이야기로 얼마 전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을 만났을 때 얘기를 해주셨는데. 손 회장이 “여전히 두려움에 떨면서 ‘제대로’ 베팅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는 걸 듣고 깜짝 놀랐다고. 외부에서 보면 야후-알리바바-보다폰-스프린트 인수가 파격 그 자체인데, 당신은 여전히 제대로 하지 않은거라 얘기하니 아무리 김정주 회장이라해도 기가 질렸을테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3/11/19 at 13:25

골드뱅크

with one comment

국내 인터넷 사용자가 600만명이던 1999년, 골드뱅크에는 200만 가입자가 있었다. 인터넷 사용자 셋 중 한명이니 지금으로 치면 애니팡급이다. 7급 공무원이었던 김진호 대표는 회사를 창업한지 1년 반만인 1998년 10월 회사를 코스닥에 등록했고, 얼마되지 않아 시가총액은 3천억을 넘어섰다. 코스닥 진입전에는 인터넷 주식공모로 9억원을 유치하기도 했다.

흥미로운건 주식공개 이후 골드뱅크의 행보가 일본 소프트뱅크와 유사했다는 것. 김대표도 공개적으로 말한적이 있는데, 다양한 금융기법으로 자금을 조달해 다른 회사에 투자하는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노렸다. 실제로 연매출이 100억에 불과하던 1999년, 이 회사는 유상증자, 전환사채발행, 해외투자유치 등을 통해 1000억을 조달하고는, 심지어 타이어회사에도 투자했다. 결국 적대적 인수합병에 휘말리다가 지난 2009년 상장폐지됐는데.

광고를 보면 돈을 준다는 리워드 모델은 사용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골드뱅크가 그러했듯 스마트폰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던 작년부터 모바일 광고사업자들이 대거 등장했다. 서비스 시작 이후를 보자. 김대표는 광고 클릭수면 끝이라고 생각했지만 광고주들은 실질적인 매출증대를 원했다. 말하자면 이 회사는 클릭당과금(Cost Per Click)을 제시했지만 광고주들은 행동당과금(Cost Per Action)을 원한거다. 광고효과에 의문을 가진 기업들이 이탈하기 시작했다. 순식간이었다.

당시에는 회원수 확보라는게 하나의 사업모델이었다. 사실 지금도 어느정도는 그러하다. 매출이 없어도 회원이 많으면 결국엔 돈이 된다고들 생각한다. 잠깐,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다. 하지만 장미빛 전망이던 한국벤처들은 추락하기 시작했고, 테헤란밸리는 신기루처럼 증발하지 않았던가. Chris Dixon 도 수익모델을 검증하지 못한 소비자 서비스들은 어려워질거라고 예측했다. 멋부릴때가 아니란 말이다.

+ 소프트뱅크도 비슷한 시기에 주가가 100분의 1로 줄어들며 여려움을 겪었지만 반등에 성공했다. 차이는 무얼까?

10년전 여름

with one comment

저녁회의가 끝나고 혼자 멍하니 상념에 빠졌다. 정확하게 1년 전에 이 테이블 하나놓고 시작했을 때엔, 지금의 모습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작년 여름만 하더라도 지금처럼 벤처열풍이 강하지않았고, 이제서야 소셜커머스가 아닌 초기 벤처회사들이 조금씩 주목받던 시기였다. 신문을 펼치면 스타트업이란 단어가 곳곳에 보이는 지금과는 적지않게 달랐다.

문득 1년 전이 아니라, 10년 전 벤처업계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궁금해졌다. 금수강산도 변하는 시간인데 어떤 변화들이 있었을까? 일단 ‘스타트업’을 제목이나 본문에 포함한 기사수를 찾아봤다. 2012년 7월의 경우 25일 현재까지 총 439건, 1년 전인 2011년 7월은 178건, 그리고 10년 전인 2002년 7월은? 단 4건에 불과하다.

10년 전엔 지금보다 100배나 미디어들이 스타트업에 관심이 없었다는 얘기일까? 아니다. 스타트업이란 단어가 유행어인 까닭이다. 실제로 같은기간동안 ‘벤처’를 포함한 기사수를 비교해보면 2828건 > 2135건 > 1132건 으로 2.5배정도의 차이다. 그 때나 지금이나 상생, 동반성장, 중소기업이 강해야한다는 메타포는 늘 있어왔다.

◆ 벤처가 무너진다 (연합뉴스 2002년 7월 23일)
KTB네트워크, 한국기술투자, 산은캐피탈, 무한투자 등 4대 벤처캐피털이 현재벤처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투자재원은 총 3천361원에 이른다. 하지만 이들이 올 상반기 벤처에 투자한 금액은 총 909억원으로 작년동기 투자액(1천312억원)의 69%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설립후 1년미만의 초기 벤처에 대한 투자는 전체 투자의 5.8%, 53억원에 지나지 않는다.

◆ 벤처 자금난 심각, 하반기 ‘벤처대란’ 우려 
(매일경제 2002년 07월 28일)
S사는 돈이 안되는 연구개발 부문을 과감히 포기할 예정이다. 차세대 수익원으로 기대했던 인터넷전화(VOIP) 등은 언제 시장이 커질지 기 약할 수 없는 상황이다. 올 하반기에만 30% 정도 연구인력을 줄이고 남는 인력을 영업으로 돌리겠다는 계획이다.

◆ 테헤란벨리를 떠나는 벤처기업들 (아이뉴스 2002년 7월 30일)
유동자금 부족 및 고정비 지출 등의 문제로 테헤란벨리를 떠나는 벤처기업들도 잇따르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서울 테헤란벨리보다 임대료가 저렴한 분당 신도시 등으로 둥지를 옮기는 곳도 있다. 하지만 서울 외곽이나 대학교 창업보육센터 등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초심으로 돌아가겠다”고 밝히는 곳들이 대다수다.

하지만 큰 차이가 있다. ‘뛸 선수는 없는데 운동장만 많아진다’는 농이 들릴정도로 인큐베이터와 지원정책이 많아진 지금과 달리, 2002년의 여름은 벤처에게 참 시렸다. 벤처회사들에 대한 혹독하고 냉정한 평가, 그리고 투자유치의 어려움이 상존하던게 불과 10년 전 여름이다.

역사책에 나와있는 많은 이야기들이 현실과 동떨어져보여도 사실 인간의 본성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그 때나 지금이나 문제되는 상황들은 비슷하다. 시간이 흐르면 누군가에게 2012년 여름이 역사책에서나 볼 수 있는 옛날 옛적 얘기가 될거다. 그 때 그 책은 나를, 우리를, 그리고 지금을 어떻게 그려낼까.

나는 이게 어떻게 시작될거라는걸 알려주러 온겁니다

leave a comment »

두려워하고 있다는걸 압니다. 당신은 우리를 두려워해요. 변화를 두려워하죠. 나는 미래를 모릅니다. 앞으로 이게 어떻게 될거라고 말하려고 온게 아니란 말이에요. 나는 이게 어떻게 시작될거라는걸 알려주러 온겁니다. 이 전화를 끊고, 당신이 그들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던걸 똑똑히 보여줄겁니다. – 네오, 매트릭스

I know that you’re afraid… you’re afraid of us. You’re afraid of change. I don’t know the future. I didn’t come here to tell you how this is going to end. I came here to tell you how it’s going to begin. I’m going to hang up this phone, and then I’m going to show these people what you don’t want them to see. – Neo, The Matrix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2/06/11 at 01:34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