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Posts Tagged ‘기세

사선에서

leave a comment »

우리는 매일 사선으로 출근한다 – 날아다니는 총알만 보이지 않을뿐이다. 몸을 사리지 않고 돌격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팽팽한 긴장감을 이기지 못해 후방으로 빠지고자 하는 사람도 있다. 예기치 못한 기습에 부상자가 발생하기도, 상대편 몰래 특공대를 운용해 판도를 바꾸려고도 한다. 중요한 사실은, 전쟁이 종결될 때까지 원하던 원하지 않던 끊임없이 전투를 이어가야 한다는 것이다.

고대에는 무엇보다 기세가 중요했다. 일렬로 돌격하는 상황에서는, 앞으로 나가며 칼에 힘을 실을 순 있어도 뒤로 물러날때엔 불가능한 까닭이다. 밀리면 끝나는 싸움이었다. 하지만 총으로 대변되는 원거리 무기가 보급되면서 양상이 달라졌다. 전략의 범위가 넓어졌고, 수적으로 열세인 군대가 이기는 일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머리수가 적다고 무조건 불평할 일이 아니게 된 셈이다.

사업초기에는 자원이 부족해서 백병전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특출난 장수 한 두명이 전장을 휘저을 수 있었고, 또 그럴 수 있을만한 판만 선택했다. 그러다 사업이 한 단계 나아가면서 – 총을 갖게 되었을 때 – 복합적인 전략구상이 가능해졌는데. 복잡한 전략을 실행하려면 합이 잘 맞아야한다. 눈빛만 보고도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있는 오래된 전우가 빛을 발하는 시점이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3/08/04 at 00:02

거센 물살은 바위도 띄운다

with one comment

카우보이들은 어떻게 몇 백 마리나 되는 소들을 한 번에 몰아갈까?  소 한 마리 한 마리 방향을 잡아서는 열 번째 소와 씨름하는동안 그 전 아홉마리가 중구난방으로 흩어질게 분명하다. 기세다. 동시에 수십마리씩 몰아간다면 무리에 흐름이 형성되기에 한 두 마리가 반대 방향으로 가려해도 거스르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손자병법에도 비슷한 구절이 있다.

전쟁을 잘하는 자는 승패를 기세에서 구하지 병사들을 문책하지 않는다. 그래서 능력있는 자를 택하여 임명하고 그에게 기세를 준다.  (故善戰者, 求之於勢, 不責於人, 故能擇人而任勢. )

스포츠 경기를 보아도 가끔씩 실력있는 팀이 분위기에 밀려 기세좋은 팀에게 질 때가 있다. 한일월드컵 때 우리나라 국가대표팀이 흐름을 탔던것처럼. 전제를 하나만 꼽자면, 거리다. 딱딱한 것이 부드러운 것에 깨어지는 짧은 순간을 놓치지 않으려면 목표물과 가까이 있어야하는 까닭이다. 물을 손으로 퍼내면 약하지만, 물살이 거세지면 큰 바위도 쓸려가는 법이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3/01/20 at 01:17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