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Posts Tagged ‘소프트뱅크

네 번째 투자

with 2 comments

얼마 전에 네 번째 사무실로 이사를 했는데, 공교롭게 바로 일주일 뒤에 네 번째 투자를 마무리했다. 돌아보니 지난 2011년 늦가을에 있던 첫 번째 투자부터 지금까지 어느 한 번도 쉬운 순간이 없었다. 우리의 최선만으로는 늘 부족했고, 주변 사람들의 선의와 사람의 노력으로 어찌할 수 없는 거시환경 변화가 맞아떨어지지 않았다면 여기까지 오는 게 불가능했을 거다.

첫 번째 투자는, 정말 우연히 이루어졌다. 아이디인큐를 함께 시작한 이성호 본부장이 티켓몬스터 공동창업자인 권기현 본부장과 조우한 것이 발단이었다. 이성호 본부장은 창업하기 전 공인회계사였던 까닭에 스타트업 세계에 깜깜했고, 예전에 동아리를 같이 하던 권기현 본부장과는 간만에 커피나 한 잔 하자고 했던 자리에서 아이디인큐에 합류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한 것. 권 본부장이 인턴정도 하고 있는 거겠지 생각했었단다. 신현성 대표와 권기현 본부장 등이 창업한 티켓몬스터가 리빙소셜이 매각된지 겨우 일주일 후의 일이다. 당황하다 못해 황당해했던 권기현 본부장이 신현성 대표에게 재밌는 일이 있었다며 이야기를 꺼낸 것이 투자로 이어졌다.

"티켓몬스터에 인턴으로 있는 게 아니라, 공동창업자라구요?" 엔젤투자 에피소드가 소개된 기사

“티켓몬스터에 인턴으로 있는 게 아니라, 공동창업자라구요?” 엔젤투자 에피소드가 소개된 기사

두 번째 투자는, 첫 번째 투자에 참여했던 신현성 대표의 소개를 계기로 이루어졌다. 티켓몬스터에 투자를 검토한 적이 있던 소프트뱅크벤처스 이강준 상무를 연결해준 것. 미팅은 티켓몬스터에 투자를 집행했던 (당시) 스톤브릿지캐피탈 박지웅 심사역과 공동으로 15억 원의 투자를 집행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Series A 라운드는 감사하게도 기관투자자뿐만 아니라 아이디인큐에 관심이 있던 개인투자자도 함께 해주셨고. 음재훈 TransLink Capital 대표, 조용범 Facebook 한국 지사장, 그리고 게임빌의 창업멤버로 활약하다가 지금은 Oracle 본사에서 근무하는 조성문 PM이 그들이다.

세 번째 투자는 Series A 투자의 연장선상에서 같은 투자자로부터 이듬해 이루어졌고. 지난 주에 마무리된 34억 원 규모의 Series B 라운드가 네 번째 투자였다. 2012년 가을, 한 행사장의 오픈서베이 부스에서 KTB네트워크 고병철 상무를 우연히 인사드리고 2년 동안 이따금 교류하다가 결국 후속투자로 연결된 것. 나중에 세어보니 투자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기 전까지 거의 열 번을 만났더라. 단순히 장밋빛 미래를 파는 게 아니라 단단한 실적과 또 그걸 만들어가는 과정에서의 신뢰가 중요한 후속 라운드였던 만큼 서로 공을 많이 들였던 셈이다. 그만큼 서로 얼마나 잘 맞을 수 있을까 까다롭게 따져봤다는 이야기다.

이번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뿐만 아니라 네오플과 위메프를 공동창업한 유제일 이사가 참여했는데. 특히 소프트뱅크, 스톤브릿지, 그리고 신현성 티켓몬스터 대표와 조용범 Facebook 한국지사장은 무려 3번째 투자라는 점에서 참 감사하다. 서비스도 출시하지 못했던 초기 단계에 투자하는 것도 깊은 철학과 신념이 필요하지만, 기업가치가 늘어나는 과정에서 지속해서 재투자하는 것은 그 이상의 무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의 우리가 있기까지 회사의 성장 과정에서 좋은 시기와 힘들었던 시기에서 함께 기뻐하고 슬퍼하고 공감해준 투자자의 역할이 적지 않았다.

KTB네트워크가 앞장선 Series B 투자건이 보도된 기사

KTB네트워크가 주도한 Series B 투자가 소개된 기사

물론, 지금까지의 여정을 가능하게 해준 가장 중요한 원동력은 아이디인큐 구성원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존경할 수 있는 훌륭한 구성원들이 있기에 좋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었고. 보여준 것보다 보여줄 게 더 많은 서비스를 기꺼이 사용해준 고객사가 있었기에 발전시킬 수 있었으며. 우리 팀을 믿어준 투자자 덕분에 구성원과 고객사를 위한 장기적 관점에서 의사결정을 해올 수 있었다.

(아이디인큐는 여러 직군에서 신규채용을 진행중이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 이야기 @ SoftBank HQ

with 10 comments

오늘 소프트뱅크 본사에서 손정의 회장을 만났다. 오래전부터 뵙고 싶었는데, 오픈서베이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여러모로 중요한 시간이었고. 만난 것 자체로도 좋은 경험이지만, 발표를 준비하며 아이디인큐의 미래를 다시 한 번 점검했던 것이 큰 성과였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 앞에서

손정의 회장 앞에서 ‘아이디인큐 10년 비전’을 발표하며

발표가 끝나고 배석한 분들과 함께 손정의 회장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는데, 인상적인 부분을 메모한다.

  • 나는 때를 잘 만났기때문에 이 앞자리에 앉아 발표를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 세대 더 늦게 태어났으면 (이 자리에 앉은 누군가에게) 발표하고 있었을거다. 내가 소프트뱅크를 시작했을 때에는 성공하겠다는 절실함 말고는 아무것도 없었다. 투자를 받을 수 있는 곳도 없었고 인터넷도 없었다. 사업을 시작하고 15년을 인터넷과 전혀 관련없는 일을 하지 않았던가.
  • 우리가 투자한 여러분은 이미 가족회사다. 나를 포함한 IT산업 1세대들은 이미 60대에 접어들었기 때문에 (여러분 같이 젊은 세대의 창업자를 만나며) 끊임없이 배워야한다고 생각한다. 나를 파트너라고 생각해달라.
  • 이동통신사업을 시작했을 때에는 장비투자가 핵심이었다. 누가 기지국을 더 많이 세우냐가 중요한 시기였는데. 여기에 매몰되면 Dumb Pipe 로 전락해버릴거라 생각했다. 그래서 컨텐츠가 중요하다는 판단을 했고. 단순하게 망을 제공하는 것에서 끝나지않고 (얼마전 인수한 SuperCell 처럼) 부가가치를 더 만들어낼 수 있는 사업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 규모의 경제가 중요하다. 소프트뱅크는 Sprint와 BrightStar의 인수로 연 1억 3천만대의 휴대단말기를 구입하게 되면서 협상력에 엄청난 변화가 생겼다. 이전에 소프트뱅크 혼자서 구매할 때와 비교했을 때 삼성전자, 애플과 같은 벤더와의 관계에 큰 전환점이 됐다.
  • 여기서 (일본과 미국을 아우르는 1위 통신사업자가 된 것에) 안주할 생각은 없다. 아직까지 개척하지 못한 시장이 많다. 매출, 이익 등 모든 면에서 세계 1등 회사가 되는걸 목표로 가고있다.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하루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3/11/27 at 18:49

넥슨 김정주 회장 키노트 @ SoftBank Ventures Forum 2013

with 4 comments

오늘 W워커힐에서 진행하는 소프트뱅크 벤처스 포럼에 오픈서베이 이야기를 하러갔다가, 평소에 뵙기 힘든 넥슨 김정주 회장이 키노트하는걸 볼 기회가 있었다. 인상적인 이야기들을 간단히 메모하면.

넥슨 김정주 회장 @ SoftBank Ventures Forum 2013

넥슨 김정주 회장 @ SoftBank Ventures Forum 2013

  • 넥슨은 때를 잘 만났다.  (Internet + Game + Right Time)
  • 지금도 뉴욕, 샌프란시스코 등을 돌아다니며 소규모 팀으로 일하는걸 즐긴다.
  • 새로운 아이디어에 투자하기도 하는데 Collective Intelligence 에 관심이 많다.
  • 사람들이 Lyft, Lit Motors 와 같은  ‘미친’ 서비스들을 더 많이 개발했으면 한다. 
  • 게임중독보다 더 큰 문제는, 훌륭한 인재들이 게임만 개발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 길게보고 해라. 10년, 20년이 지나면 옆에서 따라오던 경쟁자들이 다 자빠지기 마련이다. 그 때 남아있으면 1등 되는거다.

약간 빗겨간 이야기로 얼마 전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을 만났을 때 얘기를 해주셨는데. 손 회장이 “여전히 두려움에 떨면서 ‘제대로’ 베팅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는 걸 듣고 깜짝 놀랐다고. 외부에서 보면 야후-알리바바-보다폰-스프린트 인수가 파격 그 자체인데, 당신은 여전히 제대로 하지 않은거라 얘기하니 아무리 김정주 회장이라해도 기가 질렸을테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3/11/19 at 13:25

약속을 지키자

with 3 comments

신년을 맞아 구성원들에게 보내는 글을 쓰던 중이었다. 회사의 대표를 맡게된 시점의 메일을 다시 꺼내보았다. 지금보다 사람에 대한 강조가 더 선명하다. 아이디인큐는 태생부터 사람이 먼저였기에, 그리고 당시엔 오픈서베이 서비스를 시작하기 이전이었던 까닭이다. 이른바 포부는 이랬다.

궁극적으로 ‘의미있는 도전을 함께하고, 성과를 합리적으로 분배하며, 개인의 발전을 지원하는, 행복한 회사‘라는 대명제 속에서 자연스럽게 발전시켜나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회사는 여러분 한 분 한 분이 하고싶은 방향을 최대한 고려할 것입니다.

내가 한 다짐들을 돌아본다. 좋아하는 사람들과 좋아하는 일을 하자던 구성원들에 대한 약속, 더 나은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거라던 오픈서베이 고객들에 대한 약속,  그리고 훌륭한 팀과 사업모델의 가능성을 믿어달라던 투자자들에 대한 약속. 과분하게 많은 사람들의 믿음을 받아왔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난 얼마나 실천해 보였는가.

그래서 새 해 목표는 단순하게 정했다. 내가 한 말을 지키자. 사업이 커져도 사람이 먼저인걸 잊지않는 행복한 팀, 기업들의 정확한 시장분석을 돕는 단단한 서비스, 그리고 투자자들에게 재무적으로도 사회적으로도 자랑스러운 포트폴리오가 되길 희망한다. 그리고 올 해의 마지막 날에 담백하게 증거할 수 있기를.

골드뱅크

with one comment

국내 인터넷 사용자가 600만명이던 1999년, 골드뱅크에는 200만 가입자가 있었다. 인터넷 사용자 셋 중 한명이니 지금으로 치면 애니팡급이다. 7급 공무원이었던 김진호 대표는 회사를 창업한지 1년 반만인 1998년 10월 회사를 코스닥에 등록했고, 얼마되지 않아 시가총액은 3천억을 넘어섰다. 코스닥 진입전에는 인터넷 주식공모로 9억원을 유치하기도 했다.

흥미로운건 주식공개 이후 골드뱅크의 행보가 일본 소프트뱅크와 유사했다는 것. 김대표도 공개적으로 말한적이 있는데, 다양한 금융기법으로 자금을 조달해 다른 회사에 투자하는 지주회사로의 전환을 노렸다. 실제로 연매출이 100억에 불과하던 1999년, 이 회사는 유상증자, 전환사채발행, 해외투자유치 등을 통해 1000억을 조달하고는, 심지어 타이어회사에도 투자했다. 결국 적대적 인수합병에 휘말리다가 지난 2009년 상장폐지됐는데.

광고를 보면 돈을 준다는 리워드 모델은 사용자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골드뱅크가 그러했듯 스마트폰 보급이 폭발적으로 늘던 작년부터 모바일 광고사업자들이 대거 등장했다. 서비스 시작 이후를 보자. 김대표는 광고 클릭수면 끝이라고 생각했지만 광고주들은 실질적인 매출증대를 원했다. 말하자면 이 회사는 클릭당과금(Cost Per Click)을 제시했지만 광고주들은 행동당과금(Cost Per Action)을 원한거다. 광고효과에 의문을 가진 기업들이 이탈하기 시작했다. 순식간이었다.

당시에는 회원수 확보라는게 하나의 사업모델이었다. 사실 지금도 어느정도는 그러하다. 매출이 없어도 회원이 많으면 결국엔 돈이 된다고들 생각한다. 잠깐,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야기다. 하지만 장미빛 전망이던 한국벤처들은 추락하기 시작했고, 테헤란밸리는 신기루처럼 증발하지 않았던가. Chris Dixon 도 수익모델을 검증하지 못한 소비자 서비스들은 어려워질거라고 예측했다. 멋부릴때가 아니란 말이다.

+ 소프트뱅크도 비슷한 시기에 주가가 100분의 1로 줄어들며 여려움을 겪었지만 반등에 성공했다. 차이는 무얼까?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