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사선대형

with 3 comments

일반적인 전투의 양상과 사선대형의 차이

일반대형과 사선대형 차이 (빨간색이 정예전력)

전술의 기본은 내가 약하든 강하든 상대방의 약한 곳을 치는데 있다. 적은 분할하고 나는 집중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대방과 나의 전력차이가 벌어질수록 이게 잘 안통한다. 우리는 이순신의 명량해전처럼 수 배 이상의 병력을 무너뜨리는 영웅담에 매료되곤 하지만, 그건 기실 어쩌다 한 번 있는 일이다. 전쟁에 이기려면 이길 싸움에 이기고 질 싸움은 피하는 것이 옳다.

그래도 어느 전투에서나 한 쪽은 열세가 되기마련인데, 기원전 371년 테베의 젊은 장군 에파미논다스와 6천여 명의 병사들이 그랬다. 스파르타의 왕 클레옴브로토스가 1만 1천 명의 병력을 이끌고 테베로 진격해왔고 이들은 아테네 북서쪽의 레욱트라에서 맞붙었다.

당시 스파르타 병사들은 일반적으로 밀집된 형태의 장창 보병대의 형태로 (팔랑크스, Phalanx) 전투에 참여했는데. 횡과 종으로 12명이 늘어서 전방 전투원이 부상당하면 후방과 자리를 바꾸며 전열을 가다듬는 것이 큰 특징이었다. 오른손으로 싸우고 왼손으로 방어하는 형태이다보니, 전투 중에는 자연스럽게 반시계 방향으로 전장의 구도가 회전했고. (오른손으로 공격하려면 왼발을 내딛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이 얼마나 빠르게 좌익을 무너뜨리고 적의 사령부를 타격하느냐가 승패를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그렇기에 우익에 배치되는건 가장 위험하면서도 명예로운 일이었고, 때문에 이 곳에는 늘 최고의 전력이 배치되었다. 다른 말로는 중앙과 좌익은 보통 수준의 병사들로 구성된다는 뜻이다. 에파미논다스는 이 점을 역으로 이용했다. 스파르타 정예가 치고들어오는 좌익을 적의 4배 수준으로 (종심 50열) 강화하며 승부를 걸었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얇아진 중앙과 우익이 적군과 마주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추기위해 사선대형으로 군대를 배치했다. 좌익을 빠르게 진격시켜 열세인 구역이 전장에 끌려들어가기 전에 스파르타 사령부를 괴멸시켜 버릴 작정이었다. 

그리고 그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

레욱트라 전투에서 구현된 사선대형

레욱트라 전투의 흐름: 사선대형은 시간과 공간을 따로 분할함으로써 열세를 극복하게 만들었다

물론 대형 하나만으로 이긴건 아니다. 전투가 시작되자마자 테베가 기병대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는 운이 따라줬다. 패주하는 스파르타 기병이 팔랑크스에 뛰어들면서 보병 대열을 흐트렸고, 혼란상황에서 전력마저 수 배 차이났기 때문에 전열은 순식간에 무너질 수 밖에 없었다. 그 결과 테베의 우익이 스파르타의 좌익이 제대로 맞부딯치기도 전에 본진의 클레옴브로토스 왕까지 타격해 전사시켰다. 스파르타 왕이 전투에서 죽은건 레오니다스 이후 백 년 만이었다. (레오니다스가 전사한 테르모필레 협곡전투는 영화 300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레욱트라 전투를 흔한 영웅담으로 취급할 수 없는 까닭은 이것이 전쟁사에서 가지고 있는 의미 때문이다. 사선대형은 전투에서 고려할 수 있는 전략의 차원을 재정의했다. 이전에는 공간 분할만이 유일한 각개격파 방법이었는데. 에파미논다스가 시간이라는 차원을 더했다. 만약 좌익과 중앙 그리고 우익이 동일 시점에 맞부딯쳤다면 중앙과 우익이 무너지며 좌익마저 적군에게 포위당했을테다. 하지만 사선대형은 아군에게 유리한 구역에서의 전투를 ‘먼저’ 시작하고, 불리한 구역에서의 전투는 최대한 지연시키면서 상대방이 병력우세를 활용할 수 없게 만들었다. 이는 특정 구역에서 테베군이 우세를 유지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냈고. 그 시간은 판도를 결정하기에 충분했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4/02/01 , 시간: 02:42

3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약간 뜬금없지만 읽으면서 만화책 ‘히스토리에’가 떠올랐어요.

    jaeykim2

    2014/02/02 at 22:55

    • 앗, 답변이 조금 늦었네요. 모르던 만화책이었는데 찾아보니까 기생수 작가의! 다음번에 만화방가서 좀 찾아봐야겠습니다 ^^

      Kelvin Dongho Kim

      2014/02/18 at 21:22

      • 네 신간이 나오는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 제외 흥미진진한 책입니다

        jaeykim2

        2014/02/18 at 21:54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