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Posts Tagged ‘KT

3만 번째 고객사에 덧붙여

with 2 comments

오프라인 매장을 돌아다녔다. 사장님들이 어떤 고민을 하고 계시는지 직접 듣고 싶던 까닭이다. 점심·저녁으로는 손님 대응에 바쁘기 때문에, 제대로 대화할 수 있는 건 한적한 오후가 유일하다. 신경 써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니다. 손님이 몰릴 땐 계산하는 것만도 정신없는데, 그 와중에 어느 아르바이트생이 급한 사정으로 출근하지 못하면 큰일이다. 차분히 매출을 분석하는 것은 요원해진다. 식당이든 편의점이든 병·의원이든 모두 같은 처지다.

그런 중에 ‘손님이 아닌 누군가’가 매장에 들어와 서비스를 제안한다면?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색안경을 끼고 볼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머리 아픈 일이 많은데 초면의 세일즈맨을 신뢰할 이유가 없지 않나. 오프라인 영업이 어려운 이유다.

어머니는 모바일 앱 설치를 부탁하곤 한다. 자주 쓰는 것이 아닌 앱스토어 비밀번호를 기억하기 어려우셨으리라.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을 쓰게 되었지만, 누구나 편히 다룰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갤럭시S가 출시된 2010년엔 앱 소개코너가 신문지면에 있었다. 아이폰을 사용하는 친구들이 모이면 재밌게 쓰는 앱을 추천하곤 했다. 그때는 새로운 앱을 설치하게 만드는 게 지금보다 쉬웠다.

컴스코어가 발표한 2017 미국 모바일 앱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세 달 동안 새 앱을 하나도 내려받지 않은 미국 스마트폰 이용자가 절반이 넘었다.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을 테다. 2017년에 모바일 서비스를 안착시키려면 더 높은 벽을 넘어야 한다.

국내 카드결제 시장에는 해외에는 없는 VAN(부가가치통신망) 사업자가 존재한다. 가맹점 모집·관리 등 다양한 부가업무를 대행함으로써 카드사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하지만 카드사마다 정산 일자와 수수료율이 다르고, VAN 대리점에서 거래정보를 프로세싱하는 과정에서 제때 정산산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때문에 사장님 입장에서는 오늘 돈이 얼마나 들어올지 알아보는 것조차 쉽지 않다.

캐시노트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별도 모바일 앱은 아니어야 했다.

사장님들이 ‘매일 느끼는 불편함’을 해결해주는 서비스.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별도 모바일 앱은 아니어야 했고, 오프라인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지만 오프라인으로 영업해서는 안 된다. 캐시노트는 이런 배경에서 개발됐다. 소셜커머스, 배달서비스, 그리고 고객관리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오프라인 영업조직이 없는 회사는 없었다. 우리는 디지털 채널만으로 소구할 수 있을 거라는 급진적 가설을 세웠다.

2017년이니까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다. 전 국민이 카카오톡을 쓰고,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지급수단이 신용카드이며, 셋 중 하나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까닭이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한 2010년이라면 엄두를 못 냈을 일이다.

그렇게 출시하고 7개월 만에 3만 번째 고객사를 맞았다. 전국에 행정동이 3천 개 조금 넘으니, 어느 동네에 가든 캐시노트를 쓰는 사업장이 10개씩 있는 셈이다. 한편으로 오프라인 매장이 200만 개나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 여정은 말 그대로 1%밖에 지나지 않았다. 한국신용데이터 구성원 모두의 헌신이 있어 가능한 여정이기도 하다.

사장님들의 따뜻한 응원으로 열정을 지속할 수 있고, 우리가 꿈꾸는 미래에 힘을 보태준 파트너가 있어 앞으로 갈 길이 외롭지 않을 테다. 본경기는 이제 시작이다.

진짜 캐시노트가 있어 행복해요.
– 임은숙 사장님이 남겨주신 댓글 중에서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7/12/03 at 02:19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