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커브 길에서

with one comment

포뮬러 원을 잘 모르는 사람도 마이클 슈마허라는 이름을 한 번쯤은 들어봤으리라. 1994년을 시작으로 이후 10년 동안 월드 챔피언을 7번이나 했으니 말이다. 난 당시 경기 중에 1995년 그랑프리 장면을 종종 돌려보곤 하는데, 그중 백미는 바로 슈마허가 알레시를 추월하는 순간이다.

승부는 커브 길에서 난다. 앞서가던 사람은 보통 안쪽으로 주행하며 거리를 줄이지만, 방향전환을 빠르게 해야 하는 까닭에 감속의 폭 또한 크다. 따라서 뒤따라가던 사람의 유일한 추월 차선은 커브 길의 바깥쪽이다. 더 긴 거리를 돌지만, 속력을 덜 줄이기 때문에 이어지는 직선 구간에서 치고 나갈 기회를 얻기 때문이다.

상용인터넷이 개시된 직후 창립된 다음커뮤니케이션과 갤럭시S 출시 직전 서비스를 개시한 카카오톡은, 커브 길에서 승부를 걸었던 패기 어린 벤처기업이었다. 물론 같은 방향으로 승부를 걸었던 경쟁자가 수없이 많았기에 그 안에서의 자리다툼 또한 만만치 않을 테다. 하지만 시작이 반인 만큼 이미 타이밍에서 적잖이 걸러짐이 분명하다.

소비자 분석을 업으로 삼고 있는 첫 번째 회사는 스마트폰 보급률이 15%에 불과할 때 설립된 까닭에, 훌륭한 엔젤 투자자와 초기 구성원을 경쟁이 격화되기 전 모을 수 있는 운이 따랐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란 거대한 흐름에 탔던 거다. 이후 조직의 성장과 개인으로서의 기여분은 반비례했을 테니, 결국 나의 가장 큰 역할은 적절한 때에 시작한 것 그 자체였을 테다.

한편, 지난봄 설립한 두 번째 회사는 리스크 평가를 업으로 삼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중소사업자 대출에 집중하는 이유는, 연 400조 원에 이를 만큼 거대한 규모지만, 오랫동안 법적·기술적 제약으로 인해 시장참여자 누구도 만족스럽지 못하게 운영되어왔기 때문이다. 그만큼 변화시킬 수 있는 여지가 크다.

하지만 리스크에 보수적일 수밖에 없는 금융산업은 변화하기 쉽지 않다. 특히 라이센스를 얻기 위한 최소 요건과 규제 비용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한데. 금융위원회가 이번 달 중순 입법예고한 신용정보법 개정안을 보면 묘한 기류를 느낄 수 있다. 커브 길에 들어선 것이다.

One Response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 2016년에 이야기했던 커브 길을 돌고 나왔을 때 우리는, 가장 많은 동네가게들에서 쓰이는 경영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팀이 되었다. 지금 우리 팀이 들어선 또 다른 커브 길을 멋지게 돌아 나올 때는, 캐시노트가 사업의 모든 순간에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서비스로써 모든 사장님으로부터 압도적인 신뢰와 지지를 받고 있기를 기대해 본다. […]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