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Archive for the ‘도전의 기록’ Category

다시, 커브 길에서

with one comment

이번에 하려는 건 전자증빙 데이터(electronically verifiable data)를 기반으로 한 신용평가 방법론을 이용, 중소사업자 자금조달 시장의 공백을 메우는 일입니다. (…중략…) 다시 말해, 지금까지 비어있던 재무/정량 데이터 기반 중소사업자의 신용평가모델에 대한 요구가 지속해서 커질 것이 자명합니다.

새로운 사업을 시작합니다 (2016년 5월 22일)

지난 수요일, 6년 전 봄에 보냈던 메일을 다시 찾아봤다. 한국신용데이터를 시작하면서 가까운 몇 분에게 말씀드렸던 ‘데이터 기반의 사업자 신용평가’가, 드디어 제도권에 안착한 날이었기 때문이다. 한국신용데이터 주도로 카카오뱅크, SGI서울보증보험, KB국민은행, 현대캐피탈, 전북은행, 그리고 웰컴저축은행과 함께 설립한 한국평가정보(*1)는 2022년 7월 6일, 금융위원회로부터 국내 최초의 전업 개인사업자 신용평가사로 허가받았다. 금융정보를 토대로 평가하는 전업 신용평가사(금융CB)로 범위를 넓혀 보아도, 2005년 이후 17년 만에 새롭게 인가받은 회사이기도 하다.

6년이 흐른 지금에 와서 보면, ‘사업자 자금조달 시장의 공백을 메우는 일’은 한국신용데이터가 해결하는 사업의 순간 중 하나가 되었고. 우리는 자금조달에 국한하지 않고, 사업을 시작하고 성장시키는 모든 과정이 더 쉬워지게 하겠다는 더 큰 꿈으로 나아가고 있다. 고객 기반이 시작할 때의 상상보다 더 큰 규모로 늘었고, 그 속도가 여전한 까닭에 가능한 일이다; 2022년 6월 말을 기준으로 한국신용데이터 공동체(*2)의 서비스는 150만 개 넘는 사업장에 제공되고 있으며, 상반기에 늘어난 수만 35만(*3)에 이른다.

2016년에 이야기했던 커브 길을 돌고 나왔을 때 우리는, 가장 많은 동네가게들에서 쓰이는 경영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팀이 되었다. 지금 우리 팀이 들어선 또 다른 커브 길을 멋지게 돌아 나올 때는, 캐시노트가 사업의 모든 순간에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서비스로써 모든 사장님으로부터 압도적인 신뢰와 지지를 받고 있기를 기대해 본다.

*1. 곧 사명 변경 예정으로, 아직 정식 명칭은 '데이터 기반 중금리시장 혁신 준비법인'이다.
*2. 한국신용데이터 본사와 5개의 공동체 회사는 캐시노트, 비즈봇, 아임유, 푸짐 등을 서비스하고 있다.
*3. 캐시노트를 출시하고 2년 동안 20만 사업장 고객을 확보했던 것에 비추어보면, 올해 성장 속도를 가늠할 수 있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22/07/11 at 01:30

틈을 넘으며

with one comment

출시하고 7개월 만에 3만 번째 고객사를 맞았다. 전국에 행정동이 3천 개 조금 넘으니, 어느 동네에 가든 캐시노트를 쓰는 사업장이 10개씩 있는 셈이다. 한편으로 오프라인 매장이 200만 개나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 여정은 말 그대로 1%밖에 지나지 않았다.

3만 번째 고객사에 덧붙여 (2017.12)

이후 1년 2개월 동안 캐시노트를 도입한 사업장은 7배 늘어 20만 개를 넘었다. 지난해 여름 10만 개를 기념하는 글을 적다가 탈고를 못다 했는데, 이번에는 꼭 메모를 남겨야겠다고 마음먹었다. ‘20만’이라는 숫자는 우리가 목표하는 시장의 어디쯤을 지나는지 가리키는 중요한 이정표인 까닭이다.

기술수용주기 모델과 ‘캐즘(chasm)’의 개념을 제시했던 제프리 무어 박사는 신기술이 처음 보급된 후 대중적으로 보급되는 과정에서 단절이 발생하는데, 그게 전체 시장의 13~19% 지점이라고 이야기한 바 있다. 따라서 그 틈을 지나고 있는 서비스의 성장세가 견조하다면 좋은 신호, 반대라면 좋지 않은 뜻일 테다.

캐시노트에 대입해보자. 우리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사는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한 오프라인 사업장’인데. 국내 활성 카드 가맹점(월 1회 이상 카드 결제가 발생하는 매장)이 약 150만 개로 추산되므로, 이 시장의 틈은 약 20~30만 개 사이에 존재한다고 볼 수 있겠다.

신규 고객사 추이를 보면, 서비스를 출시한 첫해 월 3천 개 수준에서 이듬해 월 1만 개로 늘었고, 올해 들어서는 월 2만 5천 개씩 늘고 있다. 이번 달에 새로 캐시노트를 도입된 고객사만 3만 곳에 육박한다는 사실은 성장세가 여전하다는 걸 보여준다. 국내에서 매월 신규 계약되는 카드 가맹점은 약 4~5만 개 수준이니, 지금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여지도 열려있다.

즉, 캐시노트는 초기 시장을 벗어나 주류 시장으로 빠르게 파고드는 중이다. 몇 달 안에 드러나겠지만, 지금 추세라면 곧 틈의 구간을 완전히 넘어서 주류 시장에 안착한다. 그런 의미에서 2019년은 우리가 사업자를 중심으로 한 생태계에 있어 무서운 신예(enfant terrible)를 넘어 대세(mainstream)로 인정받는 원년이 될 것이다.

기술수용주기 모델상 시장의 약 13~19% 지점에 틈(chasm)이 있고, 캐시노트는 그 구간을 빠르게 넘어가고 있다. 외식업을 기준으로 보면, 시장 침투율은 이미 25%를 넘어 대세에 접어들었다.

한국신용데이터는 사업자가 매일 마주하는, 직접 처리하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를 파고들어 해결해 왔다. 오늘 얼마나 돈이 들어오고 나갈지와 같은 기초적인 현금흐름 관리부터, 재방문 고객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방문했던 고객들이 우리 가게에 대해서 어떻게 느꼈는지 확인하는 것, 그리고 주위 상권과 비교했을 때 잘하고 있는지 가늠하는 것까지.

기능 하나하나를 뜯어보면 로켓을 만드는 일처럼 보이지 않지만 1) 신뢰할 수 있는 제삼자의 위치를 유지하고, 2) 사업자를 최우선순위로 놓음을 타협하지 않으며, 3) 일관성 있게 의사결정을 지속하는 일은 로켓을 만들기보다 쉽다고 볼 수 없다. 예컨대, 단골 비율을 알려주는 기능을 생각해보자.

대부분 사람들은 식당 문을 열고 나면 처음 물어보는 게 매출이 얼마냐는 것이다. 나는 처음에는 매출 같은 걸 따지지 않는다. 제일 중요한 것은 바로 손님의 재방문이라고 생각한다. 손님이 한 번 왔다가 다시 찾는 비율이 70퍼센트가 넘으면 그 매장은 성공한 것이다.

백종원의 장사 이야기

백종원씨 말처럼 단골 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은 장사를 안 해본 사람도 한 번쯤 들어봤을 정도로 무척 중요하다. 그런데 캐시노트 이전에 재방문 고객 비율을 제대로 알려주는 서비스가 없었다는 사실이 신기하지 않은가? 사업장의 전체 매출을 기준으로 재방문 비율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사장님이 해당 상권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가늠하게끔 돕는 것. 우리가 깨어 보인 콜럼버스의 달걀 중 하나다.

데이터 비즈니스는 사람과 자본이 많을수록 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깊고 정교한 구상으로 제품을 단단히 만드는 것이 중요한 업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채용에 있어 대단히 높은 기준을 설정하고 타협하지 않는 이유이자, 통상적인 경우보다 이른 시점에 시니어 리쿠르터 포지션을 열게 된 이유다.

전국 20만 개 넘는 사업장에 도입되어 있고, 매월 3만 개에 달하는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연간 60조 원 이상의 오프라인 결제정보를 수집·분석하는 한국신용데이터는 열 명이 조금 넘는 규모다. 소수정예를 유지함으로써 1) 고객에게 더 많은 조각(pie)을 양보해도 괜찮은 사업 구조를 만들 수 있었고, 2) 팀원마다 더 큰 배움과 보상이 주어지는 조직 구조를 확립했으며, 3) 외부에 의지하지 않아도 괜찮은 재무 구조를 견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우리가 사업자를 가운데 두고 뭉친 젖은 눈덩이(wet snow)는 틈을 넘어서 빠르게 굴러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눈덩이가 굴러갈 언덕은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길어 보인다. 지금 이 여정에 합류해도 전혀 늦지 않았다는 뜻이다.

3만 번째 고객사에 덧붙여

with one comment

오프라인 매장을 돌아다녔다. 사장님들이 어떤 고민을 하고 계시는지 직접 듣고 싶던 까닭이다. 점심·저녁으로는 손님 대응에 바쁘기 때문에, 제대로 대화할 수 있는 건 한적한 오후가 유일하다. 신경 써야 할 일이 한둘이 아니다. 손님이 몰릴 땐 계산하는 것만도 정신없는데, 그 와중에 어느 아르바이트생이 급한 사정으로 출근하지 못하면 큰일이다. 차분히 매출을 분석하는 것은 요원해진다. 식당이든 편의점이든 병·의원이든 모두 같은 처지다.

그런 중에 ‘손님이 아닌 누군가’가 매장에 들어와 서비스를 제안한다면?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도 색안경을 끼고 볼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머리 아픈 일이 많은데 초면의 세일즈맨을 신뢰할 이유가 없지 않나. 오프라인 영업이 어려운 이유다.

어머니는 모바일 앱 설치를 부탁하곤 한다. 자주 쓰는 것이 아닌 앱스토어 비밀번호를 기억하기 어려우셨으리라.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을 쓰게 되었지만, 누구나 편히 다룰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갤럭시S가 출시된 2010년엔 앱 소개코너가 신문지면에 있었다. 아이폰을 사용하는 친구들이 모이면 재밌게 쓰는 앱을 추천하곤 했다. 그때는 새로운 앱을 설치하게 만드는 게 지금보다 쉬웠다.

컴스코어가 발표한 2017 미국 모바일 앱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세 달 동안 새 앱을 하나도 내려받지 않은 미국 스마트폰 이용자가 절반이 넘었다. 한국도 크게 다르지 않을 테다. 2017년에 모바일 서비스를 안착시키려면 더 높은 벽을 넘어야 한다.

국내 카드결제 시장에는 해외에는 없는 VAN(부가가치통신망) 사업자가 존재한다. 가맹점 모집·관리 등 다양한 부가업무를 대행함으로써 카드사 비용 절감에 기여한다. 하지만 카드사마다 정산 일자와 수수료율이 다르고, VAN 대리점에서 거래정보를 프로세싱하는 과정에서 제때 정산산받지 못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때문에 사장님 입장에서는 오늘 돈이 얼마나 들어올지 알아보는 것조차 쉽지 않다.

캐시노트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별도 모바일 앱은 아니어야 했다.

사장님들이 ‘매일 느끼는 불편함’을 해결해주는 서비스.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별도 모바일 앱은 아니어야 했고, 오프라인 사업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지만 오프라인으로 영업해서는 안 된다. 캐시노트는 이런 배경에서 개발됐다. 소셜커머스, 배달서비스, 그리고 고객관리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오프라인 영업조직이 없는 회사는 없었다. 우리는 디지털 채널만으로 소구할 수 있을 거라는 급진적 가설을 세웠다.

2017년이니까 해볼 만하다고 생각했다. 전 국민이 카카오톡을 쓰고, 가장 많이 이용되는 지급수단이 신용카드이며, 셋 중 하나는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까닭이다.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한 2010년이라면 엄두를 못 냈을 일이다.

그렇게 출시하고 7개월 만에 3만 번째 고객사를 맞았다. 전국에 행정동이 3천 개 조금 넘으니, 어느 동네에 가든 캐시노트를 쓰는 사업장이 10개씩 있는 셈이다. 한편으로 오프라인 매장이 200만 개나 있다는 걸 생각하면, 이 여정은 말 그대로 1%밖에 지나지 않았다. 한국신용데이터 구성원 모두의 헌신이 있어 가능한 여정이기도 하다.

사장님들의 따뜻한 응원으로 열정을 지속할 수 있고, 우리가 꿈꾸는 미래에 힘을 보태준 파트너가 있어 앞으로 갈 길이 외롭지 않을 테다. 본경기는 이제 시작이다.

진짜 캐시노트가 있어 행복해요.
– 임은숙 사장님이 남겨주신 댓글 중에서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7/12/03 at 02:19

오픈서베이 두 번째 장을 열며

with 8 comments

무척 운 좋은 위치에 있었다. 기실 대표라는 역할은 무대 위에서 조명받는 배우와 같아서, 하는 일에 비해 가장 많은 이목을 받게 되는 까닭이다. 책상 하나 놓고 시작했을 때야 몰라도, 기십 명의 구성원과 함께하면 그들이 대부분의 일을 멋지게 해냄에도 불구하고.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팀으로 성취한 많은 것이 알려진 개인의 공으로 오해되곤 한다.

내게 있어 지난 5년의 가장 값진 보상은 동료들과 헤쳐온 여정 그 자체다. 용산 한 켠에서 먹고 자며 서비스를 개시한 2011년, 처음으로 고객을 만나고 첫 번째 기관투자를 유치했던 2012년, 일본 소프트뱅크 본사에서 손정의 회장과 조우하며 결기를 다잡았던 2013년, 성장 가도에서 34억 원 규모의 Series B 투자를 받아 제품개발팀을 크게 확장한 2014년, 이어 리더쉽 팀을 훌륭하게 재구성하며 서비스 4주년을 맞은 2015년에 이르기까지 – 굽이굽이마다 시행착오와 깨달음이 얼마나 많았던가. 

회사의 첫 번째 장을 거칠게 요약하자면 시작 그 자체, 최소기능제품의 개발과 출시, 제품과 시장의 어울림을 찾기 위한 좌충우돌, 그리고 두 번째 장을 열어갈 조직과 재정을 준비한 것까지일 테다. 일련의 과정을 지나 아이디인큐는 스타트업(start-up)의 국면을 넘어 스케일업(scale-up)의 장에 접어들었다.

그리고 이달 말, 나는 뿌듯하고 홀가분한 마음으로 일선에서 물러나 정말 훌륭한 대표를 새로이 모시게 됐다.

황희영 신임 대표와 처음 만난 건 2013년 여름이다. 맥킨지 서울 사무소에 재직하던 당시 한국쓰리엠 손병익 부장께 서비스 소개를 받았다며 사무실로 찾아오셨다. 어떤 고객보다도 모바일 리서치의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서, 제품을 만든 우리조차 가늠하지 못하던 활용법을 먼저 제안하시곤 했다. 우리 클라이언트 데이에 초청 연사로 발표한 적도 있으니 보통 인연은 아니다. 삼고초려 끝에 모셔온 후에는 부사장으로서 회사의 제품과 전략 업무를 담당한 바 있다.

황희영 신임 대표(左)가 오픈서베이 클라이언트 데이에 초청 연사로 왔을 때 나와 한 프레임에 담긴 사진

황희영 신임 대표가 초청 연사로 왔던 클라이언트 데이에서

리서치 방법론과 소비자 인사이트에 대한 깊고 방대한 경험을 기반으로, 오픈서베이가 리서치 산업을 혁신해 나갈 청사진을 누구보다 상세하게 그려내는 분이기에. 황희영 전 부사장이 새롭게 대표를 맡아준 건 회사에 있어 대단한 행운임을 확신한다. 이후 우리는 모바일 리서치를 넘어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제품개발·마케팅·CRM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의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는 소비자 분석회사로 도약할 것이다.

그리고 이로써, 아이디인큐를 설립하고 경영을 맡아왔던 내 소임은 마무리됐다. 

더 잘할 수 있던 순간들이 아른거리지 않는다면 거짓말일 테다. 하지만 모든 과정이 처음이라 서툴렀음에도 나를 믿어준 팀원들에 대한 고마운 만큼은 아니리라. 서운한 기억을 가진 채 지나쳐간 분들에 진 마음의 빚도 오랜 기간 갚아나가야 할 일이다. 한편, 사업의 오르내림 속에서도 사람과 제품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할 수 있던 건 우리의 꿈을 믿어준 투자자들 덕분이었다. 이 모든 분의 도움으로 미약했던 시작이 여기까지 올 수 있었음에, 그저, 고마울 뿐이다.

+ 2018년 3월: 주식회사 아이디인큐는 (주)오픈서베이로 상호를 변경했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6/01/25 at 11:59

오픈서베이 4주년에 부쳐

with 2 comments

4년 전 이맘때 오픈서베이가 첫선을 보였다. 2011년 회사를 시작한 이래 시간이 무겁다고 느껴본 적이 없었는데, 올해는 여러모로 애를 쓴 기억들이 참 많기도 했고. 우리가 여기까지 올 수 있기까지 힘을 보태준 회사 안팎의 수많은 분에 대해 고마움과 책임감을 실감한 일이 많았다. 그리고 회사가 설립되어 5년이 다 되어가니 첫날에는 생각하지 못했던 순간들을 적잖이 마주하게 되는데, 이 또한 배우고 성장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2015년 한 해 동안 우리와 처음 일하기 시작한 크고 작은 고객사는 어림잡아 220개다. 영업일마다 고객사가 하나씩 늘어난 셈이다. 그중에는 롯데쇼핑 등 대기업도 있었지만, 쿠팡처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회사, 그리고 레저큐와 같은 벤처 회사까지 무척 다양한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우리가 서비스를 시작했을 때 내세웠던 ‘누구나 더 나은 판단을 내릴 수 있게 돕겠다’는 기치가 시간이 흐를수록 꾸준히 강화되고 있음이 분명하다.

2011년 12월 19일, 스케치 한 장에서부터 수개월이 꼬박 지나고 오픈서베이 베타 서비스가 시작됐다.

2011년 12월 19일, 오픈서베이가 베타 서비스를 시작했다.

올해 제품에 있던 가장 큰 변화는 설문결과 페이지의 전면개편이다. 새로운 결과 페이지는 리서치 담당자가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인구통계정보 기반 비교분석을 자동화하고, 그 해석 값을 이해하기 쉬운 자연어로 풀어내어 제공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절감시켜줌으로써, 고객사 담당자가 전략수립 및 실행과 같이 부가가치가 높은 업무에 시간을 더 쓸 수 있게 해준다.

그간 오픈서베이가 전국 규모의 데이터 수집에 드는 시간을 반나절 이내로 줄임으로써 설문조사 전반부의 혁신을 보여줬다면, 전술한 설문결과 페이지 개편은 데이터 분석에 드는 시간을 실시간에 가깝게 단축하는 설문조사 후반부 혁신의 신호탄이었다. 그 뒤를 이어 담당자의 설문 작성 경험을 향상하기 위한 업데이트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연 1,500여 건에 달하는 리서치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내부 시스템 개편에 힘을 쏟고 있다.

또한 자체 기획조사를 통해 뷰티, 모바일 쇼핑, 간편 결제, 온라인 동영상 광고효과, 식료품 구매행태 등 다양한 트렌드 리포트가 발간되어 기천 명의 마케팅 담당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은 것도 주요한 이정표로 볼 수 있겠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여름에는 소비자가 보다 손쉽게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모바일 앱(오베이)을 전면개편했다. 모바일 앱은 품질 높은 데이터 확보의 시작점으로, 더욱 편리하게 응답에 임할 수 있도록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개편의 초점을 맞췄다. 리뉴얼이 마무리된 후 매월 오픈서베이에 참여하는 소비자 수는 40% 이상 증가했다.

35만 명의 소비자가 오픈서베이에 참여할 때 사용하는 모바일 앱(오베이)은 품질 높은 데이터 확보의 시작점이다.

2015년 7월 3일, 소비자가 설문조사에 참여할 때 사용하는 모바일 앱을 전면개편했다.

오픈서베이를 피상적으로 보면 응답 수집채널을 모바일로 옮긴 정도지만, 그 이면에는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원가구조를 점진적이고 영구적으로 개선함으로써 ‘리서치’라는 도구를 더욱 많은 곳에서 유연하게 쓸 수 있게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가 담겨있다. 소비자의 생각은 끊임없이 변하고, 그러므로 이를 이해하기 위한 리서치 방법 또한 빠르게 변화해야 한다. 그리고 지난 4년간 우리가 리서치 산업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었던 건 이 기치 아래 모인 아이디인큐 구성원의 헌신 덕분임이 분명하다.

2015년 12월 19일, 오픈서베이를 통해 소비자 변화를 이해하는 고객사는 820개에 이른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5/12/22 at 23:36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