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때로는 우연에 기댈 때도 있었다

with 7 comments

몇일 전 지디넷 전하나 기자님과 만나 얘기를 나누다  ‘아이디인큐의 성장동력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을 받았다. 딱히 대답을 준비하고 있던 질문은 아니었는데 나도 모르게 ‘운이 좋았다’는 말이 불쑥 나왔다. 물론 노력도 했다. 여느 스타트업처럼 못먹고 못자고 (하지만 즐겁던) 시간들이 짧지 않았다. 용산 한켠의 작은 오피스텔에서 열 명도 넘게 등 부딯쳐가며 일하다가 좀 더 넓은 사무실로 옮긴게 불과 3개월 전이다. 그런 노력들이 성장동력의 전부 혹은 대부분이었을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시작을 하는 순간부터, 구성원들의 생각을 한 방향으로 모으고, 좋은 분들을 지속적으로 모셔오는 과정 속에는 단순히 노력만으로 설명될 수 없는 무언가가 작용했음이 분명하다.

노력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있다

노력만으로는 부족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지금 개발조직을 리드하는 L의 경우를 보자. 작년 봄 포스코에서 진행됐던 소프트뱅크벤처스 임지훈 심사역님의 스타트업 관련세션에서 만났는데. 앞뒤로 나란히 앉아있었는데 행사가 끝나고 커피를 마시며 자정넘게 이야기를 이어갔고, 바로 다음날부터 합류했다! 엔젤투자의 경우 (지난번 글에 썼던 것처럼) 생각치 못한 시기에 생각치 못했던 방향으로 물꼬가 트였던게 사실이다. 이런 긍정적인 우연들의 연속은 운이 좋았다는 말로 쉽게 정리될 수 있다. 보다 정확히는 구성원들의 운에 기댄 것이 맞다. (여담이지만, 그래서인지 회사성장을 출중한 리더 한명의 역량으로 해석하는 얘기들에는 쉬이 동의하기 어렵다.)

여기까지 생각이 미치자 갑자기 식은 땀이 흘렀다. 지금까지 성장해온 과정이 우리의 노력으로만 해석될 수 있는게 아니라. 노력으로 어찌할 수 없는 운에 기댄 부분이 많구나, 아무리 열심히 해도 타이밍이 틀리면 엇나가겠다 싶더라. 콩 심은데 콩나고 팥 심은데 팥나는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콩을 심었는데 팥이 날수도 있단 얘기다.

그렇다면 운이 좋길 기대하는 것밖에 할 게 없을까? 물론 그렇지는 않다. 운이란게 노력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렵다뿐이지 관련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 노력이 외부환경과 잘 맞아떨어질 때 긍정적인 우연이 발생하는데, 이걸 해프닝으로 지나칠지 혹은 회사의 모멘텀으로 소화할지 판가름하는게 간절함의 정도다. 여기서 말하는 간절함이란 어느 한 명이 단순히 일을 더 많이 하는걸 말하지 않는다. 좋은 사람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을 만나보는 것, 구성원 한명 한명과의 건강한 관계를 만들기위해 시간투자를 아끼지 않는 류의 노력도 포함되는거다.

중요한 건 이 간절함을 유지하는 방법이 지속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언제까지나 우연에 기댈 수는 없을테니까.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2/04/11 , 시간: 05:24

7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제가 얼마전 쓴 “행운만들기”라는 글 참조 하세요 ^^ http://liveandventure.com/

    liveandventure

    2012/04/11 at 05:43

    • 넵, 링크해주신 글 본문 중에 “어떻게 지내냐고 물으면 그 때 도움을 요청해라” 라는게 많이 와닿네요. 지난번에 뵈었을 때 너무 제 얘기만 했던건 아닌지 ^^;

      kelvindonghokim

      2012/04/12 at 06:01

      • 요새 어떻게 지내세요? ㅋㅋ 농담입니다. VC는 원래 듣는게 직업이라 괜찮아요.

        liveandventure

        2012/04/12 at 06:31

  2. 저도 항상 운이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요. 그리고 노력하는 사람, 준비된 사람에게 더 좋은 운이 올 확율이 높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Great by Choice라는 책을 읽다가 재미있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Return on Luck이라는 마지막 챕터입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것은 10X의 성과를 올리는 엄청 잘 나가는 기업이나 실패한 기업이나 좋은 운이나 나쁜 운을 얻는 확율은 똑같다는 것입니다. 차이가 나는 것은 10X기업의 경우는 평소 준비가 잘 되어 있어 좋은 운을 받았을때 성공시킬 확율이 높고, 특히 회사를 휘청거리게 만드는 나쁜 운에 대해서도 평소에 무리하지 않고 잘 준비해 왔기에 잘 파고를 넘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Return on Luck이 중요하다는 것이죠.

    그런데 가장 중요한 운은 이거랍니다. 저도 참 공감이 가는 말이라 인용합니다.

    “Who Luck”-the luck of finding the right mentor, partner, teammate, leader, friend-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ypes of luck. The best way to find a strong current of good luck is to swim with great people, and to build deep and endur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for whom you’d risk your life and who’d risk their lives for you.

    estima7

    2012/04/11 at 15:51

    • “relationships with people for whom you’d risk your life and who’d risk their lives for you” 라는 부분에 밑줄 두번치며 저희 구성원들에게도 회람했습니다. 깊이있는 내용 공유 고맙습니다!

      kelvindonghokim

      2012/04/12 at 06:03

  3. […] 때 놓치지 않는 것은 자신의 노력이라는 생각이 많이 듭니다. – 관련 글 때론 우연에 기댈 때도 있다. – 그리고 위의 글에 Estima 임정욱님이 단 댓글 저도 항상 운이 좋은 […]

  4. […] 행운이 크게 작용했다고 말한적 있다. 결국 열심히 하는건 기본이고, 정말 좋은 운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크게 성장할 수 없다는 말이다. 우리가 친구 사귀기나 데이트 같은 […]


liveandventure 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