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캣은 이겨서 증명해라
국내 최대 포털회사가 패션중심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런칭했는데, 유사한 서비스를 하는 스타트업이 있었다는 점을 들어 갑론을박이 많다. 상생을 생각하면 인수했어야하는거 아니냐는 의견도 있고, 대기업이 들어오면 지게될 사업이라면 애초부터 지속가능한것이었냐는 반문도 있다.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해당산업의 기존 대기업이 뛰어들었을 때 유지될 수 있는 경쟁력이 무어냐고 꼭 묻는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뾰족한 기술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하거나, 속도를 살려서 대기업이 본격적으로 진출하기 전 경제적 해자를 만들어놓겠다고 대답하는게 보통이다. 즉, 그들이 뛰어들어도 우리가 이길수 있다는 믿음으로 출발하는게 벤처기업이다. 그러면 이겨서 증명해야하는게 아닌가? 일례로 소셜커머스 산업의 경우, 태동하던 시기부터 수많은 대기업들이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으며 뛰어들었지만, 결국 티켓몬스터와 쿠팡을 위시한 벤처회사들은 시장의 주도권을 잃지않았다. 그 과정에서 벤처회사가 다른 벤처회사를 인수하며 성장을 가속하거나, 대기업이 벤처기업을 인수하며 시장에 뛰어든 사례도 적지않았다. 치열한 경쟁이 살아남은 이들의 체력을 강화한것도 사실이다. 과실은 소비자에게 간다.
다시 생각해보자. 대기업이 새로운 사업모델을 출시하면서 유사 스타트업을 인수해야만 상생인걸까? 인수하는게 서로에게 득이 되는 경우가 있을테고, 한쪽이 손해보는 경우도 있을거다. 산업이 뜨거워지면 자연스럽게 옥석이 가려진다. 그렇게 살아남은 자가 대기업이 아닌 빠르고 뾰족하게 움직였던 벤처기업이었던걸 우리는 종종 보지않았던가. 기세등등하던 야후는 당시의 중소기업이던 엔에이치엔에 밀려 한국에서 철수했다. 납품처를 압박하는류의 불공정거래를 막을 일이지 합리적 경쟁을 막아서는 안되는 까닭이다.
시장의 기회를 발견하고 신념으로 탑을 쌓아가는 모든 기업가들을 존중한다. 나아가 당대의 대기업이 뛰어들어 자본으로 밀어붙여도 꿋꿋이 버티며 사업을 성장시켜온 기업가들을 존경한다. 당연히 어렵고도 또 어려운 일이다. 그런데 가슴에 손을 얹고 대답해보자. 이럴수도 있다는걸 모르고 시작했는가?
무차별곡선같이 nice한 point
fulfilled 성취감.
but somehow 교만.
except 교만, it’s still nice though.
Changwoo Sa (@changwooSA)
2013/03/06 at 18:09
제 자신에게 되뇌이는 다짐이기도 합니다.
Kelvin Dongho Kim
2013/03/06 at 18:17
애시당초 그 스타트업도 90%가 외국카피캣
32
2013/03/06 at 19:05
저도 본질적으로 새로운 사업은 많지않다고 생각합니다.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2:49
좋은 글 감사합니다.
Yeonho Yoon (@yeonhoyoon)
2013/03/06 at 20:34
고맙습니다.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2:51
저도 그런 대기업에 있었고 지금도 있지만, 전 입장이 다릅니다. 물론 스타트업도 대박을 낼 수 있지요. 실제로 와챠도 네이버 영화 비평을 넘어섰다고도 하고 예로 드신 소셜 커머스 업체도 그렇군요. 하지만 현실속에서 이미 게임의 법칙이 소수의 대기업에 좌우되는 상황에서 디자인 더 예쁘게 한 카피캣 서비스 만들어서 자본과 트래픽으로 밀어부치면 사실 이기기 매우 힘들죠. 납품업체 비리만 불공정 경쟁이 아니라 지금의 온라인 시장 모양새도 불공정 경쟁이죠. 그냥 벤처들에게 그럴 줄 몰랐냐 더 서비스 잘 만들어라 할 부분이 아니라는 생각입니다. 게다가, 벤처를 포함한 경쟁사들을 죽여 버리면 전체 시장과 서비스 사용자들에게 좋을까요? 네이버나 삼전 같은 회사들의 문제이자 한계는 자신들이 있는 시장의 생태계를 왜곡시켜 자신의 매출만 성장할 줄 알지 시장을 더욱 키울 수 있는 기회는 없애버리죠. 오히려 이들을 키우다보면 대기업들이 더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네이버의 카피 전략이 언제까지 먹힐 지 궁금하네요.
asphaltkind
2013/03/07 at 00:27
“자본과 트래픽으로 밀어부치면 사실 이기기 매우 힘든걸” 충분히 고려한 이후에 창업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약간 방향에서 벗어나서 본문중엔 적지 않았습니다만 어떤 회사가 ‘인수할만한지’에 대한 판단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엔에이치엔의 경우 지난달 모바일 서비스 개발사를 인수했지요. 미투데이, 윙버스를 비롯해서 한국 정보기술 산업에서 주목할만한 첫눈의 경우도 이들이 인수했습니다. 거꾸로 여쭤보겠습니다. 유사한 서비스를 하는 벤처회사들이 모두 인수할만한 서비스와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 평가기준은 무엇이 되어야할까요?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2:55
초점을 스타트업에만 맞추지 말고 대기업에도 맞춰야 하지 않나요? 그 엄청난 연구인력과 그 엄청난 자금을 가지고 R&D 한다는 것이 고작 카피캣인가.
물론 스타트업도 이미 카피캣의 카피캣인지도 모르지만 현재는 대기업이 왜 모조품을 만들어서 사업을 시작 하느냐도 따져물어야죠. 왜 약자의 잘못을 들추거나 잘하라고 부추기는것은 잘하면서도 강자의 잘못은 그냥 넘어가주려고 하는 문화가 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당연히 약자의 잘못이나 실수를 잡아내는것이 더 쉽고 안전하기 때문아닙니까?
미국에 있는 모든 스타터들이 구글이나 ms가 카피캣을 만들면 어떡하나 불안해하면서 사업시작할까요? 시작도 못한 아이디어를 고스란히 노출시키는 킥스타터에 펀딩을 모집하는건 불가능한일 아닐까요?
이런 문화가 계속되면 한국에서 스타트업은 불가능한 나라가 됩니다. 대기업을 이긴 사례 한두개가 있을수 있지만 그런상황이 계속 연출되는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처음부터 대기업이 언제 똑같이 만들지 모른다고 가정하고 시작하면 준비기간을 수십년씩 잡아야죠.
저는 개인적으로 카피캣을 낼정도의 대기업이라면 오히려 경쟁력을 잃어버린 상태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도퇴되어야 하는건 창조력이 떨어진 대기업일수도 있습니다.
제가 순진무구한 이상적인 소리만 하는것일수도 있지만 요즘의 카피캣 문제들은 너무 과하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Hyung
2013/03/07 at 01:19
잘못을 판단하는 기준은 주관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법의 테두리내에서는 판사들이 결정하지만, 이외의 것들에 대한 판단은 시장에 맡기는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미국 스타트업들은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가 카피캣을 만들까 걱정하지 않을까요? 길지않지만 실리콘밸리에 있던 기억들을 돌아봤을 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온도차이가 있습니다. 정녕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이 더 호혜적인걸까요? 반대로 더 인수할만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성공한 스타트업이 한국에 비해 많은건 아닐까요?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2:59
도퇴 ===> 도태. 털썩…
yuseokoh
2013/07/30 at 16:56
소셜 커머스가 카피캣을 견뎌내고 살아남은 합당한 사례인지 모르겠습니다. 그 쪽 업계에 잠시 몸담아봐서 아는데 아이디어와 물량 공세 싸움이 아니라 어차피 맨바닥 영업부터 일궈내야 하는 종목이라서 형태만 IT 벤쳐업체를 띠고 있을 뿐 사실상 기존 유통기업과 다를 바가 없었어요. 갑의 입장으로 얼렁뚱땅 들이밀면 한자리 꿰찰 줄 알았던 대기업들이 고꾸라진 이유도 거기 있었죠. 사실 티몬이나 쿠팡, 위메프 모두 알고 보면 뒤에 만만찮은 후원자들을 끼고 했다는 걸 굳이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번 케이스와는 꽤 다른 면이 많다고 봅니다. 당연히 대기업도 경쟁 시장이 참여할 자격이 있고 세상에 독보적인 아이템이 어디 있겠냐만은 비단 오프라인에서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도 기본적인 상도라는 건 있는거죠.
Sanchoi
2013/03/07 at 04:47
제 글은 비단 정보기술업계에만 해당하는 글이 아니었습니다. 분야를 막론하고 모든 창업가들이 시작할때부터 고민해야하는 요소에 대한거지요. 그렇기에 소위 스타트업 하기 좋다는 실리콘밸리에서도 성공률은 매우 낮습니다. 적지않은 성공사례들이 있다는건 눈에 보이지 않는 수많은 시도들이 있었던 까닭이죠. 거꾸로 묻겠습니다. 월마트가 미국의 유통을 장악하고나서 미국 소비자들은 피해를 입었을까요? 글쎄요. 어차피 독점상황에 대한 법적규제는 별도로 마련되어있습니다. 기술자체는 본질적으로 중립적이기에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도가 중요한것처럼, 한 회사가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갖고있고 그걸 활용해 확장을 지속하는 행위 자체에 도덕적 판단을 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3:05
상도를 어기는 작자에 대항해서 상도를 지키며 이겨라니요? 카피캣이냐 아니냐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게임판에서의 물론 진짜 이기는 소수도 있겠죠. 그 소수를 보면서 ‘자 이런 것도 가능하지 않냐’ 라고 말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죠. 상도를 지키도록 사회를 바꾸는 것이 더 맞다고 봅니다.
zariski
2013/03/07 at 15:57
상도의 범위와 기준이 서로 다를 수 있을것 같습니다. 말씀드렸듯 무조건 시장에 먼저진입한 벤처회사가 있다고 당시의 대기업들이 ‘인수해야만’ 상도라고 생각하신다면,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인수할만한’ 회사인지에 대한 고민이 선행될 필요가 있습니다.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3:06
공감되네요. 잘 읽었습니다.
온실안에서 크면 생존할수는 있습니다만 잘 크긴 힘들죠.
보호도 좋지만 과도한 보호는 경쟁력을 잃게합니다.
그들이 더 잘할 수 없다면. 사겠죠.
makingmarke염소똥
2013/03/08 at 09:46
고맙습니다. 저도 적정수준의 안전망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합리적 수준의 경쟁이 시장참가자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필수적이고, 결국 살아남아서 증명해야하는게 벤처의 숙명인것 같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고요.
Kelvin Dongho Kim
2013/03/08 at 13:14
88만원 세대 저자의 트윗 중에 이런 게 있던데,
‘고용노동부는 안심하시라. 내가 88만원세대 강연 가면 “난 대기업에 취업하고 나중에 CEO 될 사람인데 당신이 뭔데 88만원 세대란 구질구질한 이름을 우리에게 붙였느냐”며 역정을 내는 청춘들을 여전히 마주치니까.’
이렇게 대책없이 호기스럽기만 한 발언을 알아서 해주니 우리나라 재벌들, 대기업들은 정말 아무 걱정이 없겠어요.
걱정도팔자
2013/03/11 at 13:19
얼마전 네이버에서 발표한 상생방안이 의미하는 바가 나름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한 위치와 자본력을 충분히 갖추었다면 이제 자신의 이익만이 아닌 모두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선행(?) 베풀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인수될만한 가치를 가진 스타트업으로 키우느냐는 영미권과의 인식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키우고 큰 기업에 매각 후 또 다른 스타트업을 키우는 것과 목숨걸고 하나만 죽어라 파는.. 실패를 두려워 하지 말라고 하지만 실패는 곧 매장이라는 인식이 가장 무서운 같아요
dae0e (@dae0e)
2013/07/31 at 13:57
[…] 기능 이름까지 똑같이 따라한 회사가 수주경쟁에 참여한 적도 있는데, 이겨서 증명한 건 물론이다. 우리의 올 해 목표는 – 다른 누군가가 아닌 ‘작년의 […]
두 번째 연례서신에 덧붙여 | 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2014/04/10 at 18:46
[…] 후발주자였던 네이버는 이후 한게임 유료화와 검색광고의 대성공으로 기세등등하던 야후를 물리치고 독보적인 1위로 올라섰는데. 잘 알려진 것처럼 한게임은 카카오를 설립한 […]
다음과 카카오, 그리고 네이버컴과 한게임 | 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2014/05/26 at 10:03
맞는 말씀이시지만 도의적 비난마저 법으로 이겨내는 한국 대기업의 약탈문화는 겪어 본 사람만 압니다. 그리고 야후의 예는 외국기업이 현지화에 노력하지 않은 대표적인 예일 뿐, 네이버도 서버 갈라파고스화를 바꾸지 않는다면 고급정보 수요가 줄어 쇼핑몰로 남고 주도권을 뺏길 것입니다.
이내훈
2017/12/08 at 01:22
근 10년 가까이 된 아티클이지만 네이버의 행태는 여전히 카피캣 만들어내기에 급급하다 봅니다.
지금은 더 약삭빠르고 교묘해져, 자회사를 설립하여 카피 서비스를 내고 있는 상황이네요.
몇 년 전 스타트업에서 만들어 나온 서비스가 PMF를 달성한 상태였는데(유료), 네이버는 이 서비스를 그대로 카피하고 전면 무료화하면서 공격적으로 마케팅하더군요. 기가 막혔습니다.ㅎ
그렇게 잘되던 스타트업이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잃는 걸 보면서, 이 나라의 구조적 문제는 언제 해결될런지… 저는 사업에 대한 꿈을 접었습니다.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아직도 여전합니다.
부끄러운 줄을 모르네요.
참 씁쓸합니다.
김동건
2022/12/02 at 1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