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 the awl, stupid
지난 주말내내 내가 follow 하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만 최소한 수십명이 한마디씩 덧붙인 Marc Andrees 의 Why Software Is Eating The World 를 읽어보고 든 생각을 느즈막히 풀어본다.
십수년 전과 지금을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접근성이다. 정규교육과정을 배운 한국인이라면 산업을 1차/2차/3차로 분류하고 선진국일수록 3차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높다는 부분에 밑줄친 기억이 날거다. 닷컴버블이 시작될 90년대 중반 인터넷접속자는 5천만명이었지만, 지금은 유선인터넷 20억 명, 모바일인터넷 50억 명 시대가 되었다. 제품을 개발하면 그것이 노출되는 모수가 100배나 뛰었다는 얘기다. 그러다 보니 더 이상 3차 산업의 비중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산업의 비중이 더 의미있는 기준이 되어버렸다. 가장 비용효과적으로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도구로써 소프트웨어가 급부상한 것이다.
이렇게 극단적으로 높아진 접근성은, 소비자들이 그저 그런 제품에 만족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90년대에 암암리에 유통되어 매우 적은 사람들 (소위 매니아) 에게만 노출되던 일본음악같은 것들은 대중들이 너무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되어버렸다. Zard 음악 하나 들으려면 향레코드 가서 기웃거려야 했지만, 지금은 Youtube 에서 검색한번에 6,610 개의 공연영상을 볼 수 있게됐다. 이래서 그저 그렇지만 나름 괜찮았던 대부분의 제품들은 외면을 받게 된다. 예를 들면, 싸이월드를 그만두고 페이스북에 옮겨온 (혹은 아직은 병행하는) 한국인들이 500만 명이다. 10년에 걸쳐 쌓아올린 1800만 회원 3명 중 1명이 해외에서 개발된 더 좋은 제품으로 갈아탔다. 사용자 잠금효과가 큰 SNS 인데도 이모양이다. Reeder for iOS 가 이미 미친듯이 멋진 UX 를 제공하고 있는데 RSS Reader for iOS 를 만드는 일은 (조금 과장하자면) Facebook 을 대체할 SNS 를 꿈꾸는 것과 같다. 하지 말란 말이 아니라, 내가 하기 싫다는 말이다. 난 로또가 아니라 승산있는 판을 신중히 골라 들어가고 싶은 까닭이다.
그래서 새로운 제품을 성공시키려면 좁히고 좁힌 극소수의 고객들에게 와우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대기업이 아닌이상 리소스는 매우 제한적이라 100의 메시지를 100명에게 전달하는 것보다는 100의 메시지를 10명에게 소리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수천 명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있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라, 사용자 마음에 송곳 (awl) 처럼 파고들어 와우경험을 줄 수 있는 소수 정예팀 (A-Team) 이 필요하다. 이걸 아는 회사는 아무나 뽑지 않는다. 적당히 괜찮은 엔지니어 혹은 사업개발자를 뽑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 120% 먹히는 사람만 함께 하려고 한다. 한끗이라도 녹슨 송곳은 말끔히 구멍을 뚫지 못한다. 흙탕물에 뒹굴며 흰옷에 얼룩지지 않길 바라는건 요행을 노리는 것과 같다.
사실 바로 위의 문단은 나의 가설이다. 그래야만 한다고 믿고 있는 신념이기도 하다. 그저 격류에 휩쓸려 떨어지진 않은 것만으로 배에 힘주며 감놔라 배놔라 하고싶지 않다. 그래서 직접 가설을 증명하는 실험을 시작한다. 곧.
——
이전에 사용하던 티스토리 블로그에 작년 8월에 올린 글이다. 아이디인큐에 풀타임으로 조인하며 적었던 의미있는 글이라 중복이지만 다시 한 번 포스팅해봄!
새 블로그 보기 좋네요. 시원하고 깔끔하고. 🙂
Sungmoon
2012/03/12 at 06:29
선배님 블로그를 많이 참조했습니다 (^^)
kelvindonghokim
2012/04/12 at 02:59
[…] 고객에게 wow 경험을 주는 것에서 출발해야할 것이다. 이 방향은 얼마전에 읽은 블로그의 글과도 […]
새로운 시장을 창조한 스타트업 GitHub의 비하인드 스토리 « Entrepreneurs Meet Developers
2012/03/18 at 16:45
[…] 스타트업은 유저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작은 기능에 아주 집중해야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느낄 수 있는 순간이었다. 다시 한번 이 포스팅이 생각이 났다. […]
Instagram 의 깨알같은 뒷 이야기들 « Entrepreneurs Meet Developers
2012/04/12 at 01:31
Kevin이 Quora 에서 그렇게 열심히 활동하는지는 몰랐네요 ㅎㅎ
kelvindonghokim
2012/04/12 at 03:06
[…] 때 유지될 수 있는 경쟁력이 무어냐고 꼭 묻는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뾰족한 기술기반‘을 만들 수 있다고 하거나, 속도를 살려서 대기업이 본격적으로 […]
카피캣은 이겨서 증명해라 | 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2013/03/06 at 18:01
기술 인프라의 발달 -> 매체medium가 기술적/양적으로 발전하면서 접근성이 높아진 건 사실입니다. 그러면 매체의 발달로 인해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와 접근성이 적어도 그 채널이 닿는 곳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투명/공평해지고, 그러면 채널이 닿는 범위에서는 상품/서비스가 투명하게 서열화됩니다. 그러므로 켈빈이 말한 것처럼 적당히 좋은 건 다 도태되고 제일 좋은 것에 몰빵이 되죠. 그것도 글로벌하게.
그러나 반대로 매체가 상품/서비스의 보급 채널이 되면서 그 채널을 통제하는 이에게 엄청난 권력이 부여되었습니다. 그러므로 몰빵 대상은 언제든 채널을 통제하는 이에 의해 취사선택될 수 있습니다. 물론 1-2위의 각축전이 아니라 3위부터 100위정도까지의 경쟁이라면 시장의 판단에 의해 자연스럽게 서열이 정해지겠지만요..
그냥 켈빈이 글을 멋있게 써 놨길래 저도 멋있는 댓글 달아보려고 달아봤어용.ㅋㅋㅋ
태클은 아니고요. 켈빈 믿음직스러워요.
켈빈에게 라는 책을 꼭 추천해주고싶네용.
행간읽기 발행인 퍼실
2013/03/10 at 14:42
괄호 쓰면 태그로 인식돼서 안나오는구나. [프로파간다]요. ㅎㅎ
행간읽기 발행인 퍼실
2013/03/10 at 14:43
퍼실도 시장에 120% 먹히는 그런 사람이 맞네요 ^^ 프로파간다 읽어볼게요.
Kelvin Dongho Kim
2013/03/10 at 23:35
[…] 지원 체계 (support network) 가 따라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A-Player 보다 A-Team 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또 A급 조연은 언젠가 A급 주연이 된다는걸 잊지 […]
풋내기를 위한 HR | 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2013/10/13 at 1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