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호의 스타트업 이야기

한국신용데이터, 오픈서베이, 그리고 기업가정신

애플워치에 핀치투줌이 없는 이유

with 2 comments

한국에 아이폰이 출시된 2009년 늦가을, 수많은 웹 기반 회사들은 모바일을 웹의 단순한 연장이라 생각했다. 웹에서의 자산이 많던 회사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했는데, 이런 인식은 제품 담당자로 하여금 ‘어떻게 하면 앱에 더 많은 기능을 넣을 수 있을지’ 고민하게 만들었고. 그래서 나온 앱에는 한결같이 웹사이트 콘텐츠가 거진 다 들어가 있었다.

다시 말해, 데스크톱 모니터용으로 설계된 사이트맵을 모바일 화면에 꾸겨 넣은 셈이었다. 하지만 스마트폰 시대에 있어 모바일은 웹과 완전히 다른 맥락을 갖고 있던 까닭에, 그들이 자산이라 믿던 유산(legacy)은 부채로 바뀌어버렸다.

애플의 핵심특허였던 핀치투줌

애플의 핵심특허였던 핀치투줌

한편 스마트폰의 가장 특징적인 사용법은 멀티터치다. 한 번에 하나의 입력만 인식하던 이전과 달리,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동시에 인식함으로써 다채로운 상호작용 방법을 만들어냈고, 그중 백미는 ‘핀치투줌(Pinch-to-Zoom)’이다. 소송 중에 미국 특허청에 의해 무효판결을 받긴 했지만, 그 전까지만 해도 애플·삼성 특허전쟁에 있어 핵심이었던 걸 상기해보면 이 방식의 상징성을 유추할 수 있다. 즉, 애플에 핀치투줌이란 스마트폰 시대의 가장 큰 자산이었다. 꼬마 아이나 노인조차도 어떤 어려움 없이 이 방식을 자연스럽게 습득했다.

애플워치를 공개하고 있는 팀 쿡 사장

애플워치를 공개하고 있는 팀 쿡 사장

그런데 팀 쿡 사장은 오늘 애플워치를 발표하며 “이 정도로 작은 스크린에서는 ‘핀치투줌’을 적용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다(‘pinch-to-zoom’ wouldn’t make much sense on a screen that’s so small.)”며 직전 세대의 가장 큰 성공 자산에 선을 그었다.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웨어러블을 스마트폰의 연장으로 해석하고 있을 때, 애플은 키보드 기반 맥에서 멀티터치 기반 아이폰으로 넘어갔던 것처럼 완전히 새롭게 카테고리를 정의했다. 유산 중에서 어떤 것이 자산이고 또 부채임을 명확하게 이해한 까닭이다.

그의 부채 소각은 성공적으로 보인다.

Written by Kelvin Dongho Kim

2014/09/10 , 시간: 10:57

2개의 답글

Subscribe to comments with RSS.

  1. 좋은 글 잘 보았습니다. 많은 분들이 실망을 표하기도 하지만, 라이프스타일을 스마트폰이라는 기기 외부로 꺼내는 작업이었기에 매우 신중하게 접근했다라고 생각했습니다. 손목에 감게 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게 어떤 것들인지에 대해서도 다른 경쟁사와 다르게 잘 이해했다고 생각했습니다. 네트워크의 진화와 연계된 기기 및 라이프의 성장에 따라 새로운 장르로 접근한 의미있는 움직임이라고 보여집니다~

    윤성노

    2014/09/16 at 09:47

    • 넵, 결국 시장에 출시되면 소비자들이 금새 판단해줄거라 생각합니다. ^^

      Kelvin Dongho Kim

      2014/09/17 at 19:13


댓글 남기기